성신여대 치과 충치치료,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방법 알아보기

I



안녕하세요, 성신웰 이명호 원장입니다.

“충치 있다고 하던데요… 꼭 치료해야 하나요?”

진료실에서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

가끔은 치아가 썩었다는 말을 듣고도 “아직 안 아픈데 괜찮지 않나요?” 하고 미루시는 분들도 많고요.

겉보기엔 작은 구멍처럼 보여도 안쪽으로는 신경 가까이 파고들어가 있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치료를 조금만 미루면, 원래는 간단히 때우면 됐던 게 신경치료까지 이어지기도 하죠. 더 늦으면 발치까지도 가게 됩니다.

그래서 충치 치료는 ‘빠르게’보다 ‘제때’가 더 중요합니다.

오늘은 충치 치료를 앞두고 계시거나, ‘충치가 있다는데 어떤 치료를 받게 될지 몰라서 불안하다’ 하시는 분들을 위해 충치 치료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또 각각 어떤 상황에 적용되는지를 설명드려보려고 합니다.

🦷성신웰치과 홈페이지 바로 가기🦷
http://sungsinwell.co.kr/

충치는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릅니다. 단계를 나눠서 설명드리면 더 이해하기 쉬우실 거예요.

1단계 – 초기 충치 (법랑질 충치)

치아 표면에 하얗거나 갈색으로 보이는 탈회 현상 정도만 있는 상태입니다.

아직 통증도 없고, 음식물 찌꺼기나 산에 의해 표면이 살짝 약해진 정도라 이때는 불소 도포나 관찰 위주로 관리하게 됩니다.



2단계 – 작은 구멍이 생긴 충치 (상아질 침범)

치아 표면을 넘어 안쪽 상아질까지 진행된 경우로, 이때부터는 제거 후 충전 치료가 필요합니다.

흔히 ‘레진 치료’로 불리는 단계죠.

3단계 – 신경 가까이 도달한 충치 (심한 충치)

충치가 신경 가까이까지 깊게 파고든 경우입니다. 엑스레이를 통해 확인하며, 경우에 따라 신경 치료를 병행하게 됩니다.



4단계 – 신경까지 감염된 경우

치아 내부의 신경이 손상되었거나 염증이 생긴 경우입니다. 신경치료(근관치료)를 진행하게 되며, 이후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크라운을 씌우는 경우도 많습니다.

충치가 뿌리까지 번지고 뼈까지 염증이 퍼졌다면 발치를 고려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후엔 임플란트나 브리지 등 대체 치료로 이어집니다.



환자분들이 자주 궁금해하시는 부분

가끔 “레진으로 간단히 끝낼 수 있는 충치를 왜 크라운까지 씌워야 하죠?”라고 질문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같은 깊이의 충치라도, 씹는 힘이 많이 가해지는 어금니 쪽에 생긴 경우는 강도를 더 고려해야 하기에 크라운 치료를 함께 계획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경치료는 꼭 아픈 사람만 하는 건가요?” 하고 물으시는데, 신경치료는 통증 유무보다는 신경의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가끔은 전혀 안 아팠는데도 정밀 사진상 신경에 염증이 있는 경우가 발견되기도 해요.

충치 치료는 보통 ‘어디가 썩었는지 보고 때우면 되겠지’ 하고 생각하시지만, 그 과정이 단순하지만은 않습니다.

충치 범위를 정확히 파악하고, 주변 조직의 상태까지 함께 고려해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게 중요합니다.

또한 ‘일단 때우고 보자’는 식의 치료보다는, 치료 이후 치아의 기능이나 수명까지 함께 고려해서 접근하는 곳이 더 믿을 수 있습니다.

치료 전후 사진을 보여주고, 진행 과정을 충분히 설명해 주는 치과인지도 중요한 기준입니다.



저는 충치 치료를 단순히 ‘구멍 메우는 일’로 보지 않습니다.

치료가 필요한 이유, 현재 상태, 예후까지 충분히 설명드리고, 가능한 여러 선택지를 안내드린 후에 치료 방향을 결정합니다.

레진 충전부터 신경치료, 크라운, 필요한 경우 발치 후 대체 치료까지 전 과정에 걸쳐 꼼꼼하게 계획하며 진행하죠.

또한 충치가 생긴 원인을 같이 분석해 다시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생활 습관이나 구강위생 관리법도 함께 안내드리고 있어요.

치아는 한 번 손상되면 완전히 되돌릴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정확하게 치료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치료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편하게 문의주세요.

부담 없이 상담부터 받아보셔도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